Redis - 최대메모리 정책 설정 - MAXMEMORY-POLICY 이번 포스팅에서는 Redis에서 데이터가 가득 찼을때 처리방법에 대하여 알이보겠습니다 Linux Redis 이전글 https://server-talk.tistory.com/471 - Redis - In-Memory - 알아보기 https://server-talk.tistory.com/472 - Redis - 서버 설치 및 기본설정 알아보기 https://server-talk.tistory.com/473 - Redis - Redis-cli 기본 사용법 https://server-talk.tistory.com/474 - Redis - Redis Desktop Manager Tool https://server-talk.tistory.com..
Linux - 프로세스 이해하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눅스 프로세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inux 프로세스 동작 구조 프로세스는 현재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작성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프로세스라고 하며, 이러한 프로그램 묶어서 작업(Job)으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프로그램으로 실행되면 하나의 프로세스로 운영되고 이러한 프로세스를 서버 관리자가 프로세스를 제어하여 보다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에서 프로세스에서는 PID라는 고유번호로 식별자라고 하기도 합니다 프로세스의 고유번호 또는 식별자는 프로세스의 순서에 따라서 차례대로 유일한 프로세스의 부여하게 됩니다. Linux 부모 프로세스와 자식 프로세스 프로세스는 크게 부모 프로세스와 자식 프로세스로..
Redis - 운영시 주의해야되는 명령어 이번 포스팅에서는 Redis에서 명령어 사용시 주의사항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inux Redis 이전글 https://server-talk.tistory.com/471 - Redis - In-Memory - 알아보기 https://server-talk.tistory.com/472 - Redis - 서버 설치 및 기본설정 알아보기 https://server-talk.tistory.com/473 - Redis - Redis-cli 기본 사용법 https://server-talk.tistory.com/474 - Redis - Redis Desktop Manager Tool https://server-talk.tistory.com/475 - phpredis ..
Linux - stat 명령어 알아보기(파일 및 파일 시스템 상태 표시) 이번 포스팅에서는 stat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inux stat 명령어 stat 명령어는 파일 및 파일 시스템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로 파일의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 많이 사용되는 명령어 입니다. 1. stat 명령어 : 파일 확인 사용법 : stat [파일명] # stat fill.pdf File: fill.pdf Size: 19772 Blocks: 40 IO Block: 4096 regular file Device: fd00h/64768dInode: 527362 Links: 1 Access: (0664/-rw-rw-r--) Uid: ( 0/ root) Gid: ( 0/ root) Access: 202..
Redis - STOP-WRITE-ON-BGSAVE-ERROR (RDB 파일 저장 설정) 이번 포스팅에서는 Redis에서 RDB 파일 저장 실패 관련 설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inux Redis 이전글 https://server-talk.tistory.com/471 - Redis - In-Memory - 알아보기 https://server-talk.tistory.com/472 - Redis - 서버 설치 및 기본설정 알아보기 https://server-talk.tistory.com/473 - Redis - Redis-cli 기본 사용법 https://server-talk.tistory.com/474 - Redis - Redis Desktop Manager Tool https://serve..
Linux - file 명령어 알아보기(파일 종류 확인) 이번 포스팅에서는 file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inux file 명령어란? 리눅스를 운영하시다 보면 파일의 종류의 확인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예로 텍스트 파일인지 그림파일인지 문서파일인지 등등 을 확인이 필요한 경우에 file 명령어로 파일의 종류 확인이 가능하며, 단순히 파일의 확장자만 보고 판단하지 않고 파일의 헤더를 읽어서 파일의 종류를 표시해 줍니다. Linux file 명령어 사용법 사용법 : file [옵션] [파일명] 옵션 기 능 -C 매직파일의 포맷을 검사하는 옵션 입니다. -f 많은 파일을 한번에 확인하기 위한 파일리스트를 만들어서 여러개의 파일을 한번에 할때 사용되는 옵션 입니다. -m 매직파일을 지정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