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 timedatectl 명령어 알아보기 (날짜및 시간 설정)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눅스 날짜및 시간설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inux 날짜 및 시간설정 세계인들은 월드컵이나 올림픽 등등 중계를 보기 위해서 새벽에 일어나거나 밤늦게까지 기다려서 경기를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이유는 월드컵, 올림픽을 개최하는 국가의 낮 시간에 경기를 하고 국가마다 시간이 다르게 흐르기 때문입니다 리눅스에서도 마찬까지입니다 리눅스 날짜와 시간 설정을 국가에 맞게 다르게 지정이 지정할수 있습니다 그러나 날짜와 시간이 다르게 지정되어 있을 경우 DB 데이터, 로그 데이터, 웹서버의 접속한 기록 등등 지정되어 있는 국가의 시간으로 지정되면 시간이 잘못 기록되기 문제가 생길수 있습니다. 대용량 분산 처리 시..
Linux 명령어 - umask 명령어 사용법 알아보기(파일 퍼미션 마스크) 이번 포스팅에서는 umak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inux umask 명령어 란? umask 명령어는 리눅스에서는 특정 디렉터리에 파일 및 디렉터리를 생성할 경우 권한을 자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명령어이며, umask 명령어를 통해 mask 값을 설정하여 생성될 파일 및 디렉토리의 권한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Linux mask 값에 따른 권한 파일 소유자 그룹 다른 사용자 읽기 쓰기 실행 읽기 쓰기 실행 읽기 쓰기 실행 r w x r w x r w x 4 2 1 4 2 1 4 2 1 리눅스에서는 소유자, 그룹, 다른 사용자에게 별도로 권한을 부여가 가능하며 문자 기호 또는 숫자를 통해 권한할 줄수 있습니다. 리..
Linux 명령어 - chown 명령어 사용법 알아보기(파일 소유자 변경) 이번 포스팅에서는 chown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inux chown 명령어 사용법 chwon 명령어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소유자와 그룹을 수정할 경우에 사용되는 명령어 입니다 chown 사용법 : chwon [옵션] [소유자]:[그룹] [디렉토리 or 파일] 옵 션 의 미 -c 수정된 파일들만 자세하게 표시해주는 옵션 입니다. -t 간략히 표시해주는 옵션 입니다. -v 작업 진행 상태를 자세하게 표시해주는 옵션 입니다. -R 지정한 디렉토리 포함하여 하위파일까지 변경할 경우 사용되는 옵션 입니다. chown 명령을 사용하여 지정한 파일의 소유자만 지정한 경우 소유자만 변경되고 그룹을 변경되지 않으며, .(점)..
Linux 명령어 - chgrp 명령어 사용법 알아보기(파일 소유 그룹 변경) 이번 포스팅에서는 chgrp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inux chgrp 명령어 란? chgrp 명령어는 Change Group의 약자로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그룹을 변경할때 사용 됩니다. Linux chgrp 사용법 사용법 : chgrp [옵션] [그룹명] [파일명] 옵션 의 미 -c 파일의 그룹명을 변경할때 변경된 파일만 출력한다 -f 그룹이 변경되지 않는 파일들에 대한 오류 메시지를 보여주지 않는다 -v 작업 진행 상태를 자세하게 설명해준다 -R 지정한 디렉토리의 하위에 있는 모든 파일도 함께 지정한 그룹으로 변경한다. # ll data1 -rw-r--r-- 1 zone zone 0 Aug 17 10:28 ..
Linux 명령어 - chmod 명령어 사용법 알아보기(파일 권한 바꾸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chmod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inux chmod 명령어 란? 리눅스 파일 시스템에서 파일을 생성시 파일을 생성한 사용자가 파일에 대한 제어를 할수 있습니다 그러나 서비스를 운영하다보면 다른 사용자에게 접근, 읽기, 쓰기 같은 권한을 주어야할 경우가 있습니다. 다른 사용자에게 접근 권한을 부여할때 사용되는 명령어가 chmod 입니다 chmod 명령어는 소유자, 그룹, 익명사용자에게 각각 별도로 지정이 가능하며, 권한을 지정시 숫자, 알파벳기호, 특수문자를 통해 설정할 수 있습니다. Linux chmod 옵션 사용법 : chmod [옵션] [--옵션] [모드] [파일] 사용법 : chmod [..
Linux - 파일의 접근 권한 소유권 이번 포스팅에서는 Linux에서 파일의 접근 권한과 소유권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inux 파일의 접근 권한 및 소유권 리눅스 시스템은 파일에 소유권에 권한을 주어서 각 사용자가 사용하는 파일에 대한 제어를 할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권한은 다중 사용자들이 리눅스와 유닉스 시스템에서의 보안정책으로 당연한 정책 입니다 또한 파일 소유권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가 자신의 파일을 타인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는 파일 권한은 기본적으로 사용자와 그룹이 소유권을 가지도록 설정 됩니다 예로 사용자가 처음 파일을 생성할경우 파일을 생성한 사용자, 그룹 및 다른 사용자에 대한 접근권한이 설정되며, 이런 설정을 Permission 설정 이라고도 합니다 파일의..
Linux 명령어 - wc 명령어 사용법 알아보기(파일 내용 통계) 이번 포스팅에서는 wc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inux wc 명령어 란? wc 명령어는 특정 파일내에서 존재하는 바이트(Bytes)수, 단어(Words)수, 행(Lines)수를 카운트하여 화면에 출력해 주는 명령어 입니다 여러개의 파일의 바이트(Bytes)수, 단어(Words)수, 행(Lines)수를 카운트하면 전체 합과 함께 출력해 주는 기능도 있습니다. Linux wc 명령어 사용법 1. wc 명령어 문법 사용법 : wc [옵션] [파일이름] 2. wc 명령어 옵션 옵션 내용 -c 바이트(byte)의 수를 출력하는 옵션 입니다. -l 행의 개수를 출력하는 옵션 입니다. -L 가장 긴 행의 문자의 개수를 출력하는 옵션..
Linux 명령어 - sort 명령어 사용법 알아보기(파일 내용 정렬) 이번 포스팅에서는 sort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inux sort 명령어 란? sort 명령어는 텍스트로 된 파일의 행 단위 정렬을 할때 사용되는 명령어 입니다 복잡한 워드 문서 등의 편집이 아닌 간단한 텍스트 문서를 정렬작업을 할때 사용되며, sort 명령어는 특정 DB, 쉘프로그램 등의 입력 값으로 사용되는 데이터를 직접 정렬 또는 편집할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디렉토리 내의 파일 리스트를 용량별로 정렬, 파일명 기준으로 정렬, 특정 파일 내용의 기준으로 정렬을 할수 있는 작업을 할수 있습니다 Linux sort 명령어 사용법 1. sort 명령어 문법 사용법 : sort [옵션] [파일이름] 2..
Linux 명령어 - cut 명령어 사용법 알아보기(파일 각 라인 필드 출력) 이번 포스팅에서는 cut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inux cut 명령어 란? cut 명령어는 특정 파일의 열을 출력하여 제거하거나 원하는 열만 출력할 수 있는 명령어 입니다 이 명령어는 텍스트 문서의 특정 필드를 제거, 편집을 통해 원하는 내용으로 출력이 가능합니다 또한, awk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디테일하게 텍스트 파일의 출력 편집용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Linux cut 명령어 사용법 1. cut 명령어 문법 사용법 : cut [옵션] [파일이름] 2. cut 명령어 옵션 옵션 내용 -b 지정된 바이트(byte)를 출력하는 옵션 입니다. -c 지정된 문자를 출력하는 옵션 입니다. -d 필드 구분자를 설정..
Linux 명령어 - cmp 명령어 사용법 알아보기(파일 내용 비교) 이번 포스팅에서는 cmp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inux cmp 명령어 란? cmp 명령어는 두 개의 파일의 내용이 어떠한 부분이 다른지에 대해 비교하는 명령이며, 몇행 몇번재 문자가 다른지까지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 입니다. Linux cmp 명령어 사용법 1. cmp 명령어 문법 사용법 : cmp [파일이름] [파일이름] 2. cmp 명령어 사용법 # cmp cmp_file1 cmp_file2 cmp_file1 cmp_file2 differ: byte 5, line 2 비교할 대상의 파일을 지정하여 비교하면 어느부분이 다른지 라인과 문자를 출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