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구축이야기!!

닫기 검색결과 전체 보기
  • WEB Server - PHP-FPM 설정하기

    WEB Server - PHP-FPM 설정하기 PHP 5.3 부터는 PHP-FPM.CONF 설정파일이 바뀌며, 좀더 세세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PHP-FPM.CONF 설정파일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관련 글 : WEB Server - NGINX Comfile 설치하기 - https://server-talk.tistory.com/301 WEB Server - NGINX PHP 연동하기 - CentOS 7 - https://server-talk.tistory.com/307 WEB Server - PHP 7.x 컴파일 설치하기 - CentOS 7 - https://server-talk.tistory.com/312 WEB Server - PHP 확장 모듈(phpize) 알아보기 - h..

    Linux Server/PHP
    2021. 1. 25. 09:00
  • WEB Server - NGINX와 PHP 연동시 HTML 파일에서 PHP 실행하기

    WEB Server - NGINX와 PHP 연동시 HTML 파일에서 PHP 실행하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HTML 에서 PHP 실행 설정을 알아보겠습니다. NGINX 이전 글 : 서버와 클라이언트 그리고 HTTP - https://server-talk.tistory.com/291 WEB Server - NGINX 알아보기 - https://server-talk.tistory.com/297 WEB Server - NGINX Comfile 설치하기 - https://server-talk.tistory.com/301 WEB Server - NGINX 서비스 제어 - https://server-talk.tistory.com/302 WEB Server - NGINX 구성파일 및 기본설정 - CentOS 7 - htt..

    Linux Server/PHP
    2021. 1. 18. 09:00
  • WEB Server - NGINX PHP 5.3 설치하기 - CentOS 7

    WEB Server - NGINX PHP 5.3 설치하기 - CentOS 7 이번 포스팅에서는 PHP 5.2 버전 관리에 필요한 컴파일 설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관련 글 : WEB Server - NGINX Comfile 설치하기 - https://server-talk.tistory.com/301 WEB Server - NGINX PHP 연동하기 - CentOS 7 - https://server-talk.tistory.com/307 PHP 5.3 PHP-FPM 라이브러리 설치 1. 심볼릭 링크 설정 [root@php php]# ln -s /usr/lib64/libjpeg.so /usr/lib/ [root@php php]# ln -s /usr/lib64/libpng.so /usr/lib/ 2. ..

    Linux Server/PHP
    2021. 1. 11. 09:00
  • WEB Server - PHP FFMPEG 확장 모듈 설치하기

    WEB Server - PHP FFMPEG 확장 모듈 설치하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CentOS에서 FFMPEG 설치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관련 글 : FFMPEG 알아보기 - https://server-talk.tistory.com/325 64Bit 서버 운영체제서만 설치가능 합니다 FFMPEG 설치하기 FFMPEG 은 PHP 확장 모듈로 지원하지 않으며 별도로 설치해야 됩니다. 1. FFMPEG 설치에 필요한 라이브러리 설치 [root@php ~]# yum -y install git autoconf 2. FFMPEG 설치에 필요한 패키지 업데이트 FFMPEG을 설치하려면 패키지 저장소에 업데이트가 필요합니다. 2.1 CentOS 6 경우 [root@php ~]# rpm -Uvh http://li.nux..

    Linux Server/PHP
    2021. 1. 4. 09:00
  • FFMPEG 알아보기

    FFMPEG 알아보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ffmpeg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인코딩와 디코딩 그리고 코덱 1. 인코딩 :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우리는 파일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알집, 반디집 등등을 이용하여 파일을 축소 시켜 용량을 줄이는 것을 압축 이라고 합니다 반대로 동영상은 일반 문서와 속성이 달라서 전용 압축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동영상 재생에 사용되는 인코더를 이용해서 압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2. 디코딩 : 디지털 신호를 영상으로 변환 우리는 압축된 파일을 파일을 압축을 해제하는 것과 같이 압축되어 있는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압축을 해제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일반 압축된 처럼 압축을 해제한 후에 파일을 여는 것이 아닌 미디어 플레이어(곰플레이어, 팟플레어 . . .)들은 내부적..

    용어
    2020. 12. 28. 09:00
  • CentOS/Storage - NFS 튜닝하기

    CentOS/Storage - NFS Server 튜닝하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NFS 튜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전 글 : CentOS/Storage - 데이터 저장소 이해하기 - https://server-talk.tistory.com/318 CentOS/Storage - NFS는 무엇인가? - https://server-talk.tistory.com/319 CentOS/Storage - NFS Server 설치 및 설정하기 - https://server-talk.tistory.com/320 CentOS/Storage - NFS Client 설치 및 설정하기 - Client - https://server-talk.tistory.com/321 CentOS/Storage - 자동 마운트 - fs..

    Linux Server/CentOS
    2020. 12. 21. 09:00
  • CentOS/Storage - 자동 마운트 - fstab

    CentOS/Storage - 자동 마운트 - fstab 이번 포스팅에서는 fstab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전 글 : CentOS/Storage - 데이터 저장소 이해하기 - https://server-talk.tistory.com/318 CentOS/Storage - NFS는 무엇인가? - https://server-talk.tistory.com/319 CentOS/Storage - NFS Server 설치 및 설정하기 - https://server-talk.tistory.com/320 CentOS/Storage - NFS Client 설치 및 설정하기 - Client - https://server-talk.tistory.com/321 fstab(자동 마운트) 이해하기 이전 포스팅에서 Storage..

    Linux Server/CentOS
    2020. 12. 14. 09:00
  • CentOS/Storage - NFS Client 설치 및 설정하기 - Client

    CentOS/Storage - NFS Client 설치 및 설정하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NFS Server 설치와 설정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전 글 : CentOS/Storage - 데이터 저장소 이해하기 - https://server-talk.tistory.com/318 CentOS/Storage - NFS는 무엇인가? - https://server-talk.tistory.com/319 CentOS/Storage - NFS Server 설치 및 설정하기 - https://server-talk.tistory.com/320 NFS Server 설치 및 프로세스 실행 1. NFS 클라이언트 패키지 설치 [root@nfsclient ~]# yum -y install nfs-utils 위 명령어를 통해..

    Linux Server/CentOS
    2020. 12. 7. 09:00
  • CentOS/Storage - NFS Server 설치 및 설정하기

    CentOS/Storage - NFS Server 설치 및 설정하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NFS Server 설치와 설정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전 글 : CentOS/Storage - 데이터 저장소 이해하기 - https://server-talk.tistory.com/318 CentOS/Storage - NFS는 무엇인가? - https://server-talk.tistory.com/319 NFS Server 설치 및 프로세스 실행 1. NFS 서버 패키지 설치 [root@nfsserver ~]# yum -y install nfs-utils 위 명령어를 통해 NFS 서버를 설치 합니다. 2. NFS 서버 실행 사용법 : systemctl [start or restart or stop] nfs-se..

    Linux Server/CentOS
    2020. 11. 30. 09:00
  • CentOS/Storage - NFS는 무엇인가?

    CentOS/Storage - NFS는 무엇인가? 이번 포스팅에서는 NFS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전 글 : CentOS/Storage - 데이터 저장소 이해하기 - https://server-talk.tistory.com/318 NFS(Network File System) 란? NFS는 Network File System의 약자로 스토리지 서버와 일반(WEB, DB)서버들이 네트워크을 통해 저장 공간을 공유하는 프로세스 입니다NFS을 사용하면 일반(WEB,DB)서버들이 스토리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로컬 서버의 디스크처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소유자 및 권한 설정하여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NFS(Network File System) 동작 구조 1. NFS와 서버의 동작 구조 NF..

    Linux Server/CentOS
    2020. 11. 23. 09:00
  • CentOS/Storage - 데이터 저장소 이해하기

    Storage - 데이터 저장소 이해하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Storage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데이터 저장소의 한계와 문제점 초기 서버를 구축하면 데이터의 크기가 크지 않기에 1대의 서버로 구축하였고 백업만 잘한다면 문제가 없었습니다 그러나 점점 데이터의 양이 방대하게 되면서 서버의 디스크 용량의 범위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되었고 디스크가 늘어나는 과정에 있어 1대의 서버로 관리하기에 여러가지의 한계점이 발생합니다 1. 데이터의 보관 3대의 1TB 서버의 운영중인 경우 3대의 서버의 데이터 보관 각각 보관해야 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2. 데이터의 관리 3대의 1TB 서버의 운영중인 상태에서 2대의 서버의 디스크가 가득 차게 되면 디스크의 크기를 확장하여 다른 서버로 이전하여야 되는 문제가 발생..

    Linux Server/CentOS
    2020. 11. 16. 09:00
  • WEB Server - PHP 5.2, PHP-FPM 설정하기

    WEB Server - PHP5.2, PHP-FPM 설정하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FPM-FPM 설정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관련 글 : WEB Server - NGINX Comfile 설치하기 - https://server-talk.tistory.com/301 WEB Server - NGINX PHP 연동하기 - CentOS 7 - https://server-talk.tistory.com/307 WEB Server - PHP 7.x 컴파일 설치하기 - CentOS 7 - https://server-talk.tistory.com/312 WEB Server - PHP 확장 모듈(phpize) 알아보기 - https://server-talk.tistory.com/316 WEB Server - PH..

    Linux Server/PHP
    2020. 11. 9. 09:00
  • WEB Server - PHP zip 확장 모듈 설치하기

    WEB Server - PHP zip 확장 모듈 설치하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zip 확장 모듈 설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관련 글 : WEB Server - NGINX Comfile 설치하기 - https://server-talk.tistory.com/301 WEB Server - NGINX PHP 연동하기 - CentOS 7 - https://server-talk.tistory.com/307 WEB Server - PHP 7.x 컴파일 설치하기 - CentOS 7 - https://server-talk.tistory.com/312 WEB Server - PHP 확장 모듈(phpize) 알아보기 - https://server-talk.tistory.com/316 php zip 모듈 이해하기 1...

    Linux Server/PHP
    2020. 11. 2. 09:00
  • WEB Server - PHP 확장 모듈(phpize) 알아보기

    WEB Server - PHP 확장 모듈(phpize) 알아보기 이번 포스팅은 PHP 확장 모듈 설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관련 글 : WEB Server - NGINX Comfile 설치하기 - https://server-talk.tistory.com/301 WEB Server - NGINX PHP 연동하기 - CentOS 7 - https://server-talk.tistory.com/307 WEB Server - PHP 7.x 컴파일 설치하기 - CentOS 7 - https://server-talk.tistory.com/312 모듈 이해하기 서버를 운영하다 보면 현재 설치되어 서버의 기능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보편적으로 서버를 운영하시는 분들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서버를 설치를 하신 후 ..

    Linux Server/PHP
    2020. 10. 26. 09:00
  • WEB Server - NGNINX SSL 인증서 적용하기

    WEB Server - NGNINX SSL 인증서 적용하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NGINX에서 SSL 인증서 적용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이전 글 : 서버와 클라이언트 그리고 HTTP - https://server-talk.tistory.com/291 WEB Server - NGINX 알아보기 - https://server-talk.tistory.com/297 WEB Server - NGINX Comfile 설치하기 - https://server-talk.tistory.com/301 WEB Server - NGINX 서비스 제어 - https://server-talk.tistory.com/302 WEB Server - NGINX 구성파일 및 기본설정 - CentOS 7 - https://server-talk...

    Linux Server/Nginx
    2020. 10. 19. 09:00
이전페이지
더 보기
다음페이지
블로그 이미지

서버구축의 대한 이야기 입니다.

by 서버이야기

공지사항

    최근...

  • 포스트
  • 댓글
  • thumbnail WEB Server - PHP-FPM 설정하기
  • thumbnail WEB Server - NGINX와 PHP 연동시⋯
  • thumbnail WEB Server - NGINX PHP 5.3 설치⋯
  • thumbnail WEB Server - PHP FFMPEG 확장 모⋯
  • thumbnail FFMPEG 알아보기
  • 더 보기
  • thumbnail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서버이야기 ㆍ 01.27
  • thumbnail 정리 감사합니다
    mime ㆍ 01.27
  • thumbnail 중간에 MX 레코드 설정할때 aspmx.⋯
    메일테스트 ㆍ 01.15
  • thumbnail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말씀⋯
    서버이야기 ㆍ 01.13
  • thumbnail 안녕하세요 좋은 글 잘 보았습니다⋯
    killog ㆍ 01.13

태그

글 보관함


  • 2021/01
    (4)

  • 2020/12
    (4)

  • 2020/11
    (5)

  • 2020/10
    (4)
«   2021/01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링크

카테고리

서버이야기 (288)N
Windows Server (74)
IIS 8 (21)
IIIS 7 (9)
Database (13)
보안 (10)
네임서버 (6)
로그 (2)
에러 (1)
기타 응용프로그램 (9)
Linux Server (112)N
CentOS (16)
Ubuntu (1)
Linux 명령어 (15)
Apache (2)
PHP (12) N
MYSQL (17)
LAPM (4)
SNMP (1)
RAID (4)
보안 (3)
에러 (2)
모니터링 (15)
DNS(네임서버) (1)
MariaDB (2)
Nginx (13)
방화벽 (3)
Zabbix (0)
부하분산 (4)
서비스 (1)
로드밸런싱 (2)
Alteon (1)
웹언어 (38)
HTML (10)
PHP (19)
CSS (9)
유용한 정보 (9)
보안 (2)
서버 접속장애 (1)
용어 (24)
네트워크 (9)
디스크 (3)
보안 (1)
데이터베이스 (3)
Programing (25)
Python (25)

카운터

Total
1,291,789
Today
109
Yesterday
2,296
방명록 : 관리자 : 글쓰기
서버이야기's Blog is powered by daumkakao
Skin info material T Mark5.2 by 뭐하라
favicon

서버구축이야기!!

서버구축의 대한 이야기 입니다.

  • 태그
  • 링크 추가
  • 방명록

관리자 메뉴

  • 관리자 모드
  • 글쓰기
  • 서버이야기 (288) N
    • Windows Server (74)
      • IIS 8 (21)
      • IIIS 7 (9)
      • Database (13)
      • 보안 (10)
      • 네임서버 (6)
      • 로그 (2)
      • 에러 (1)
      • 기타 응용프로그램 (9)
    • Linux Server (112) N
      • CentOS (16)
      • Ubuntu (1)
      • Linux 명령어 (15)
      • Apache (2)
      • PHP (12) N
      • MYSQL (17)
      • LAPM (4)
      • SNMP (1)
      • RAID (4)
      • 보안 (3)
      • 에러 (2)
      • 모니터링 (15)
      • DNS(네임서버) (1)
      • MariaDB (2)
      • Nginx (13)
      • 방화벽 (3)
      • Zabbix (0)
    • 부하분산 (4)
      • 서비스 (1)
      • 로드밸런싱 (2)
      • Alteon (1)
    • 웹언어 (38)
      • HTML (10)
      • PHP (19)
      • CSS (9)
    • 유용한 정보 (9)
      • 보안 (2)
      • 서버 접속장애 (1)
    • 용어 (24)
      • 네트워크 (9)
      • 디스크 (3)
      • 보안 (1)
      • 데이터베이스 (3)
    • Programing (25)
      • Python (25)

카테고리

PC화면 보기 티스토리 Daum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