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명령어 - umask 명령어 사용법 알아보기(파일 퍼미션 마스크)

     

     

    이번 포스팅에서는 umak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inux umask 명령어 란?

     

     

    umask 명령어는 리눅스에서는 특정 디렉터리에 파일 및 디렉터리를 생성할 경우 권한을 자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명령어이며, umask 명령어를 통해 mask 값을 설정하여 생성될 파일 및 디렉토리의 권한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Linux mask 값에 따른 권한

     

     

    파일 소유자 그룹 다른 사용자
    읽기 쓰기 실행 읽기 쓰기 실행 읽기 쓰기 실행
    r w x r w x r w x
    4 2 1 4 2 1 4 2 1

     

    리눅스에서는 소유자, 그룹, 다른 사용자에게 별도로 권한을 부여가 가능하며 문자 기호 또는 숫자를 통해 권한할 줄수 있습니다.

     

    리눅스는 운영체제에 따라서 차이가 있으실수 있지만, 리눅스 시스템에서는 기본적으로 기본 마스크 값이 0002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1. umask에 따른 디렉토리 권한

     

     

      파일 소유자 그룹 다른 사용자
    읽기 쓰기 실행 읽기 쓰기 실행 읽기 쓰기 실행
    r w x r w x r w x
    4 2 1 4 2 1 4 2 1
    7 7 7
    UMASK 값 1 2 3
    디렉토리 권한 6 4 5
    r w   r     r   x

     

    umask 값에 따라 디렉터리의 기본 권한이되고, 디렉터리의 권한은 umask 값에 777(rwx, rwx, rwx)를 뺀 값이 디렉터리가 생성될 때의 실제권한이 되게됩니다.

     

     

     

    2. umask에 따른 파일 권한

     

     

      파일 소유자 그룹 다른 사용자
    읽기 쓰기 실행 읽기 쓰기 실행 읽기 쓰기 실행
    r w x r w x r w x
    4 2 1 4 2 1 4 2 1
    7 7 7
    UMASK 값 1 2 3
    디렉토리 권한 6 4 5
      r w   r     r   x
    파일 권한 6 4 4
      r w   r     r    

     

    umask 값에 따른 파일의 권한은 디렉터리 권한에 실행권한이 있는 숫자를 뺀 값이 파일이 생성될때 실제 권한이 됩니다.

     

     

     

     

       Linux umask 사용법

     

     

    umask 보기 : umask [옵션]
    umask 지정 : umask [숫자 및 문자]

     

     

     

    1. umask 조회

     

    # umask 
    0022

     

     

     

    2. umask 지정

     

    # umask 007

     

    # umask
    0022
    # umask 077
    # umask
    0077
    # umask -S
    u=rwx, g=, 0=

     

     

     

    3. umask 문자열 조회

     

    # umask -S
    u=rwx,g=rwx,o=

     

     

     

    4. umask 값에 따른 기본 디렉터리 및 파일의 권한

     

    umask 값 0000 0001 0002 0022 0077
    생성되는 디렉토리 권한 777 776 775 755 700
    rwx rwx rwx rwx rwx rw- rwx rwx r-x rwx r-x r-x rwx --- ---
    생성되는 파일 권한 666 665 664 664 600
    rwx r-x r-x rw- rw- r-x rw- rw- r-- rwx r-x r-x rwx --- ---

     

    Posted by 서버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