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Server/Linux 명령어

Linux 명령어 - tree 명령어 사용법 알아보기

서버이야기 2021. 12. 6. 09:00

Linux 명령어 - tree 명령어 사용법 알아보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tree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Linux tree 명령어란?

 

 

tree 명령어는 windows 탐색기와 같이 트리 형태로 볼수 있습니다 리눅스에서는 디렉토리 구성을 파악할때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을 작성시 파일 항목을 문서화로 사용할 경우 유용합니다.

 

 

 

 

   Linux tree 사용법

 

1. tree 명령어 - 용법

 

 

# tree [옵션] [파일이름]

 

 

2. tree 명령어 - 옵션

 

옵션 내용
-d 디렉토리만 표시할 경우 사용되는 옵션 입니다.
-f 파일 전체 경로를 표시할 경우 사용되는 옵션 입니다.

 

 

3. tree 명령어 - 기본 사용법

 

사용법 : tree
# tree 
.
├── bzip2_file
├── file
├── snap
│   └── lxd
│       ├── 20604
│       ├── 20638
│       ├── common
│       └── current -> 20638
└── sort_order

7 directories, 2 files

 

tree 명령어는 옵션과 파일이름을 입력하지 않고 tree 명령어만 입력해도 위와 같이 파일 구조를 확인할 수 있으며, 명령어의 마지막 줄에 조회된 디렉토리와 파일의 총 개수를 출력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tree 명령어 - 디렉토리만 표시

 

사용법 : tree -d [디렉토리]
# tree -d /root
/root
├── file
└── snap
    └── lxd
        ├── 20604
        ├── 20638
        ├── common
        └── current -> 20638

7 directories

 

 

5. tree 명령어 - 디렉토리 전체 경로 표시

 

사용법 : tree -f [디렉토리]
# tree -f /root
/root
├── /root/bzip2_file
├── /root/file
├── /root/snap
│   └── /root/snap/lxd
│       ├── /root/snap/lxd/20604
│       ├── /root/snap/lxd/20638
│       ├── /root/snap/lxd/common
│       └── /root/snap/lxd/current -> 20638
└── /root/sort_order

7 directories, 2 files